동덕여대 시위 모습과 조용각 이사장 흉상 모습
동덕여대 시위 모습과 조용각 이사장 흉상 모습

동덕여대 학생 10명 중 4명이 “학교가 소통하지 않아 발생한 일”이라며 ‘교내 래커칠 이용을 교비로 충당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동덕여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실시된 시설복구위원회의 설문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시설복구위원회는 래커칠제거 논의를 위해 학교와 학생 측 인사가 각각 4명씩 위원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설문조사에 참가한 동덕여대 학생 725명 중 95.2%는 ‘래커칠 관련 미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래커칠 제거에 찬성하는 이유로 ‘미관상’, ‘학교 이미지 재선’, ‘26학번 신입생이 곧 입학하기 때문’ 등의 순서였으며 ‘래커칠 시설복구는 어느 시기에 적절한가’에 대해서는 85.5%가 “다음 달까지 빠른 시일 내에 지워지기를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래커칠 비용을 두고는 53.1%가 ‘교비와 모금을 동시에 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42.1%는 “소통하지 않은 학교가 원인을 제공했다”며 교비로만 집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학교 측에서는 복구 비용으로 약 53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복구위원회에서 래커칠을 지우는 것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시설복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아직 학내 사안은 해결되지 않았다”고 했다. 

지난해 남녀 공학 전환 반대 시위 이후 학교 측은 피해 금액을 최대 54억 원가량으로 추산하고 총학생회장 등 21명을 공동재물손괴, 업무방해 등 혐의로 고발했다가 학생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형사고소 취소서와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했다.

형사고소 취소서와 처불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했지만 경찰은 재물손괴와 업무방해 등 혐의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경찰은 점거 농성 사건과 관련해 고소와 고발, 진정 등 총 75건을 접수해 38명을 입건했다. 

또 CCTV 등과 같은 자료가 있었던 22명은 업무방해, 퇴거불응, 재물손괴 등 혐의로 서울북부지검에 송치됐다. 경찰은 나머지 16명에 대해서는 증거불충분으로 불송치 처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조준호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