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 자료제공 = KT
KT / 자료제공 = KT

KT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사용된 불법 통신장비를 전달하거나 범죄수익을 세탁한 일당 3명이 추가로 구속돼 총 5명으로 늘었다.

10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9월 구속 송치된 중국 국적 동포 A(48)씨에게 불법 통신장비 부품을 전달한 B씨와 C씨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및 컴퓨터등사용사기죄 혐의로 구속해 지난 10월 2일과 24일 송치했다”고 밝혔다.

한국인 B(50대)씨는 텔레그램 등을 통해 알게 된 상선의 지시를 받고 지난 6월 범행에 사용된 통신장비 부품을 조달해 30대 중국동포 C씨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C씨는 같은 해 7월19일 A씨를 직접 만나 부품을 건넸으며 다른 경로로 확보한 부품도 함께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B씨는 대가로 500만 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B씨와 C씨는 서로 모르는 사이로 상선을 통해 따로 지시받았은 것으로 파악됐다. C씨는 별다른 대가를 받지 않고 범행에 가담해는데 A씨와는 과거 일면식이 있는 사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이 장비를 지난 9월16일 평택항 인근에서 중국으로 반출되기 직접 입수했으며 해당 장비는 총 27개의 네트워크 장비 부품으로 구성된 세트로 알려졌다. 이는 언론을 통해 ‘펨토셀’로 불렀으나 27개 개별 부품 중 펨토셀 역할을 하는 것은 부품 1개로 추정하고 있다.

40대 한국인 D씨는 SNS를 통해 상선과 접촉한 뒤 하루 10~15만 원을 받기로 하고 무단 소액 결제로 취득한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계정으로 전송받은 뒤 다른 사람들에게 넘기는 등 자금 세탁을 도운 혐의로 구속 송치했다. 

경찰은 이들 외에도 범행에 사용된 유심의 개통을 돕는 등의 혐의로 6명을 불구속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앞서 구속된 A씨 등 2명은 이른 새벽 불법 소형 기지국 장비를 이용해 △광명 △과천 △부천 △서울 금천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돌며 KT 이용자들의 인증 저보를 탈취해 소액결제를 유도한 현의로 기소됐다.

현재 경찰이 파악한 피해는 220명, 1억4000여만 원 규모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에 사용된 통신장비의 조달 경로와 상선의 신원을 추적 중”이라며 “유심 개통을 도운 6명도 불구속 입건해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조준호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