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주택산업연구원
/ 자료제공 = 주택산업연구원

11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전국적으로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수도권 전역 아파트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된 현상으로 보인다.

6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1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 19.4p(포인트) 하락한 72.1로, 수도권은 26.9p 하락한 73.3, 비수도권은 17.7p 하락한 71.9로 전망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경기, 인천이 각각 26.3p, 27.4p, 27.1p 등으로 하락해 84.8, 69.7, 65.2로 수도권 전 지역에서 전망 망화가 나타났다. 주산연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서 주택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고강도 규제를 시행한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며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로 인해 매수세가 감소하고 시장이 단기적으로 위축되는 등 앞으로 당분간 분양 시장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지방에서도 지난달 대비 17.7p 하락한 71.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울산 107.1→71.4 △강원 90→55.6 △충북 88.9→55.6 △전남 77.8→50 △전북 90.9→66.7 △제주 87.5→64.3 △충남 92.3→75 △세종 100→83.3 △경남 84.6→ 71.4 △광주 82.4→71.4 △부산 90.5→80 △대전 100→92.3 △대구 87.5→86.4 등 일제히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경북’만 75.0→83.3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방은 규제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수도권에 비해 하락폭은 작지만 수도권의 강력한 규제 여파와 똘똘한 한 채 현상 가속화로 다주택자의 비수도권 주택 매도가 증가할 것으로 우려돼 비수도권 또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이 전망된 것으로 보인다.

분양시장 전반의 위축 조짐도 나타났다. 11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6.2p 하락했고 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9.7p 떨어졌다. 반면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8.9p 증가해 공급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산연은 “LTV 강화 등으로 단기적으로 아파트 구매수요가 위축될 수 있으나 서울 강남 3구 등 핵심지역은 매매가격 대비 대출규제의 영향이 제한적이라 6·27 대출규제 이후와 마찬가지로 2~3개월 뒤 상승세를 다시 회복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반면 대출규제로 인한 분양시장 위축이 신규 분양 물량 감소와 기존 주택의 매물 잠김 현상을 초래해 매물 부족으로 인한 전월세 가격 상승을 자극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정진호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