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부대·시청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선거 기간에 정당, 대통령 경호처 등을 사칭하며 노쇼 사기를 벌인 일당이 경찰에 검거됐다. 이들은 우리나라 국민들을 납치 및 감금해 보이스피싱을 했으며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일 강원경찰청에 따르면 전국 560건의 사기 사건을 수사해 특정경제범죄법상 사기, 형법상 사기, 범죄단체 가입과 활동 등 협의로 114명을 검거했으며 이 중 18명을 구속했다. 강원경찰청은 지난해 말 집중 수사관서로 지정돼 노쇼 등 사기 사건에 대해 집중적인 수사를 벌여왔다.
강원경찰청이 수사한 560건 중 군 사칭 범죄는 402건, 당·대통령 경호처 사칭 범죄는 158건으로 집계됐으며 총 피해규모는 69억 원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군 사칭 사건은 경기도가 8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당·대통령 경호처 사칭 사건은 서울이 32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강원경찰은 범죄단체의 거점을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내 범죄 단지로 파악해 경찰청, 국제형사경찰기구(ICPO·인터폴), 국가정보원 등과 협력해 현지 콜센터를 급습해 피의자들을 검거했다. 경찰은 자금 세탁책, 관리책, 관리 총책, 중계기 관리책, 콜센터 조직원, 국내 총책 등 총 114명을 붙잡았으며 피의자 중 80%는 20~30대, 10대 4명도 있었다. 피의자 4명 중 1명은 여성이었다.
경찰에 따르면 사장단으로 불리는 해외총책은 캄보디아 현지에 콜센터를 두고 국내외 자금세탁 조직과 중계기 관리 조직을 관리했다. 콜센터는 군·정당 등을 사칭하는 조직과 전투식량 등 판매업체 행세를 하는 조직으로 나눠 운영했다.
해외 자금 세탁조직은 국내 자금 세탁조직과 연계해 피해금 대부분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로 송금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국내에서 활동한 중계기 관리책은 서울·경기 등으로 장소를 옮기며 수사기관의 단속망을 피했다.
최현석 강원경찰청장은 “소상공인분들께서는 계약 등에 의한 대리구매 시 꼭 해당 기관 대표번호를 통해 실제 계약 관계를 명확히 확인하고 특히 공공기관에서는 대리구매를 요청하거나 돈을 선입금하라는 경우는 절대 없음을 숙지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 사회초년생 등이 범행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외에서 업무 난이도에 비해 비정상적인 고수익을 약속하는 제안은 납치·감금 등 피해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사기죄의 공범으로 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며 “해외 취업 사기에 주의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