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함.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함.

지난 1일부터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공개하는 법안이 시행됐다. 이 법안으로 제품마다 유해성분과 유해성에 관한 정보를 국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복지부는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분석 및 정보공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담배의 유해성 관리에 관한 법률’이 지난 1일부터 시행됐다고 밝혔다.

이 법은 담배의 유해성에 관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담배의 위해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담배에 포함된 유해성분의 검사·공개 방법 등 담배의 유해성 관리 사항 전반을 규정했다.

법안이 시행됨에 따라 담배 제조업자 및 수입판매업자는 2년마다 품목별로 유해성분 검사를 담배 유해성 검사기관에 의뢰해야 하고 검사결과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시행령과 시행규칙에는 유해성분 정보 및 공개범위, 검사 방법 등 세부 절차 등이 규정돼 있다.

‘담배사업법’에 따른 담배를 제조하거나 수입해 판매하는 자는 2년마다 해당 연도 6개월 이내에 제품 품목별로 유해성분 검사를 검사기관에 의뢰해야 한다. 다만 법 시행 당시 판매 중인 담배에 대해서는 법 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검사를 의뢰해야 하며 법 시행 이후 판매를 개시한 담배의 경우 판매시기일 다음 연도 개시 후 6개월 이내에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

또한 제조자 등은 검사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검사결과서를 15일 이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유해성분 검사를 의뢰하지 않거나 검사결과서 등을 제출하지 않는 제조자 등은 시정명령을 받고 기한 내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담배 제품은 회수 및 폐기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제조자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검사결과서 등을 토대로 담배의 유해성분 정보와 각 유해성분의 독성·발암성 등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에 관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공개되는 유해성분 정보의 세부내용은 담배유해성관리정책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되며 식약처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된다.

담배 품목별 유해성분에 관한 정보는 건강증진 정책에 활용돼 국민 건강 보호·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와 복지부는 제도 시행 이후에도 현장간담회를 개최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담배 유해성 관리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담배의 유해성 관리에 관한 법률’의 본격 시행을 위한 담배 유해성분의 정보 공개제도가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업계와 소통할 계획이며 과학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담배 유해성분을 검사하고 국민께서 오해하지 않고 이해하기 쉽도록 유해성분 정보를 차질없이 공하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담배 유해성 정보를 국민에게 명확하게 전달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흡연 예방과 금연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조미진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