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함.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함.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전용면적 59m2 평균 매매가가 처음으로 10억 원을 돌파한데 이어 전국 평균 분양가는 5억 원을 넘었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서울의 전용 59m2 아파트 평균 거래가는 10억5006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9억7266만 원보다 약 8% 증가했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가 지난해 17억8706만 원에서 올해 20억8570만 원으로 2억9864만 원(16.7%)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어 △마포구 15.9% △송파구 15.89% △강동구 13.9% △성동구 13.7% △광진구 11% 등 한강 밸트 중심으로 거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반면 △중랑구 0.3% △도봉구 1.7% △용산구 2.8% △노원구 3.2% 등 9개 구는 상승률 5%를 넘지 못했으며 가격이 하락한 지역도 있었다. 

지역별 59m2 분양가는 서울이 12억1183만 원으로 평균의 2배를 웃돌았고 경기도 6억4141만 원, 부산 5억8607만 원, 대구 5억7989만 원 등으로 집계됐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m2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상승했지만 상승폭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축소됐다.

직방 측은 “최근에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전용 59m2의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전용 84m2가 여전히 가족 단위 선호도가 높지만 가격이 크게 올라 진입장벽이 높아진 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정진호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