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8월까지 의대생들이 군의관 대신 현역병 입영을 선택이 역대 최다인 3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회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는 총 283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의대생 현역병 입영자를 살펴보면 △2020년 150명 △2021명 214명 △2022년 191명 △2023년 267명 등으로 500명을 넘지 않았지만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난해 1363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의정갈등으로 의대생들의 휴학과 수업 거부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현역병 입대를 선택하는 의대생이 늘었는데 올해까지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현역병으로 입대한 의대생들은 ‘육군’이 1997명(70.4%)으로 가장 많았고 △공군 754명(26.6% △해군 62명(2.2%) △해병대 25명(0.9%) 등의 순이었다.
의대생들의 현역병 입영 선택은 군 생활의 복무기간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군의관과 공보 복무기간은 군사교육을 포함해 37~38개월인 반면 현역병 복무기간은 육군·해병대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 등으로 절반 수준이다.
현재 군의관 인원은 정원 2475명 중 현원 2442명으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의대생 현역병 입영 급증에 따라 2029~2030년에는 군의관 등 군 의료 인력 수급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황 의원은 지적했다.
황 의원은 “정부는 의정 갈등이 남긴 후유증을 정확히 진단하고 군의관 수급 및 현장 의료 지원 부족 문제에 대한 실질적이고 선제적인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