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살 사망자들의 유서에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엄마’, ‘어머니’, ‘아버지’, ‘아빠’ 등의 가족과 관련된 명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녀, 부모, 배우자 등 가족을 살해하고 자살한 사망자는 유서에 ‘돈’을 언급한 사례가 많았다.
9일 한국생명존중재단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은 2013~2020년 전체 사망 10만2538건을 대상으로 자녀, 부모, 배우자 등을 살해한 후 자살한 사망자와 그 외 자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 ‘유서분석을 통한 살해 후 자살의 특성 연구’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 215건, 자살 사망자 유서 3만7735건 가운데 각각 209건, 418건을 추출해 자연어 처리로 분석했다.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는 전체 7015개 명사 중 ‘엄마’, ‘어머니’, ‘어머님’이 246회(3.5%)로 가장 많았고 ‘아빠’, ‘아버지’가 149회(2.1%)로 뒤를 이었다. 또 자살 사망자 유서에는 총 1만3673개 명사 중 ‘엄마’, ‘어머니’, ‘어머님’ 522회(3.8%), ‘아빠’, ‘아버지’ 414회(3%) 등으로 조사됐다.
다만 ‘돈’이라는 명사는 살해 후 자살 사망자 유서에 한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자살 사망자 유서에서 170회(1.2%)로 비교적 낮았다. 구체적으로 갚아야 할 돈이 너무 많다는 ‘부채’의 의미, 남은 돈이 얼마 정도라는 ‘재산’에 대한 의미, 사후 처리를 부탁하는 수단 등이 쓰였다.
살해 후 자살을 따로 놓고 봤을 때 피해자가 자녀인 경우 30~40대 부모가 경제적 부담이나 자녀의 건강 문제가 주된 이유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50대 이상에서 돌봄부담과 경제적 어려움이 주원인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한편 연구팀이 총 28개의 감정 카테고리 모델로 유서에 나타난 감정을 분류한 결과, 살해 후 자살 사망자의 유서에는 ‘분노’, ‘흥분’, ‘중립’이, 자살 사망자의 유서에는 ‘배려’, ‘사랑’, ‘슬픔’과 같은 감정 등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연구진은 “살해 후 자살은 가족 간의 갈등, 감정적 폭발이 빈번히 언급됐다”며 “살해 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경제적 지원을 위한 사회보장의 확대, 가족 내 갈등 조정을 위한 사회서비스 확대, 심리 상담의 접근선 확대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