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본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노년기에 씹는 기능이 떨어져 밥 씹는 횟수가 늘어나면 치매 위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노인들의 저작 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사이의 이같은 연관성은 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병원·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등 공동 연구팀이 최근 대한의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이 25일 발표됐다. 논문에 따르면 노인의 씹는 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 사이에 위와 같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60세 이상의 지역 사회 거주 노인 5064명(남자 2195명, 여자 2869명)을 대상으로 씹는 기능이 떨어지면 치매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해 8년을 추적 관찰했다. 추적 관찰한 결과 남성은 밥을 삼키기 전 30회 이상 씹는 사람은 10회 미만으로 씹는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 기능과 기억력이 더 빨리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씹는 기능은 1년 동안 밥을 삼키기 전 평균적으로 씹는 횟수를 평가했다.

연구팀은 30회 이상 씹는 남성의 치매 발생 위험이 10회 미만인 남성보다 2.9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치매 중에서도 예후가 더 나쁜 알츠하이머병은 같은 비교 조건에서 발생 위험이 3.2배였다.

평균적으로 평소보다 밥을 씹는 횟수가 5회 늘어나면 치매와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이 각각 16%, 23% 증가한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남성 노인의 씹는 횟수 증가와 치매의 연관성은 뇌 자기공명영상(MRI)에서도 확인됐다. 씹는 횟수가 많은 남성일수록 저작 조절, 알프하이머병과 관련된 뇌 영역(백질·촉두엽·후두엽 등)의 용적이 감소했다.

반면 여성 노인에게서는 저작 횟수와 치매 위험·뇌 용적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완치가 어려운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인 치매는 언어장애, 비정상 행동 등을 일으킨다. 세계보건기구(WHO)도 공중보건 우선수위로 지정했다. 

치매는 본인 또는 가족이 조기에 이런 증상을 알아채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직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약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초기라면 기존 약물 등을 통한 치료로 어느 정도 진행을 늦추는 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노년기 저작 횟수 증가가 치매 병리에 대한 보상 행동일 수 있는 만큼 만약 나이가 들어 음식을 너무 오래 씹는 현상이 나타났다면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찾아 치매 검사를 바당보라”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이혜영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