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들기 전 불 끄고 스마트폰이나 TV 등을 시청하다가 잠드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이런 습관은 눈 건강에 매우 위험하다. 안압을 높여 녹내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0일 의료게에 따르면 녹내장은 40대 이상에서 점차 늘어나 60대에서 환자가 가장 많지만 최근 젊은 세대인 2030에서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라식, 라섹과 같은 굴절교정수술이 많이 시행되면서 안과에서 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젊은 녹내장 환자의 대다수는 근시 또는 고도근시가 있는 경우가 많고 녹내장 외 다른 망막질환이 발견되기도 한다.
안압의 영향을 받는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이 점차 파괴돼 시야가 좁아지며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질병이다. 안압이 높아지는 원인은 눈 속을 채우고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액체인 방수가 정상적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안압이 높아지면 바람을 가득 넣은 공처럼 안구가 딱딱해진다. 이로 인해 안구 내 모든 구조물이 압력을 받게 되고 유독 말랑말랑한 시신경 부위가 압력을 받아 손상이 발생한다.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고개를 숙이고 일하면 동공이 커지고 수정체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전방각이 좁아지게 된다. 전방각은 방수가 방출되는 통로다. 이는 방수의 흐름을 방해해 녹내장이 발병할 위험을 더욱 키운다. 영유아 시키부터 눈의 방수 배출 기능 이상으로 안압 조절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선천 녹내장도 있다.
근시나 고도근시가 있으면 녹내장 손상에 더욱 취약하다. 근시가 고도근시로 진행될수록 안구가 커지고 앞뒤로 길이가 길어진다. 눈 길이가 길어지면 시신경이 팽팽하게 당겨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신경이 더 얇아지고 녹내장 위험이 높아진다. 안압 외에도 고혈압, 당뇨 등 성인병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녹내장은 치료를 해도 이미 손상된 시신경 기능을 돌이킬 수 없고 손상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만 가능하다. 안압이 정상이어도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어 노안이 시작되는 40대 이상이거나 고혈압, 당뇨 등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 고도근시나 초고도근시인 경우, 가족이 있는 경우라면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야한다.
의료계 관계자는 “눈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평생 써야하는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곳”이라며 “건강한 눈을 지키고 싶거나 지금의 눈이라도 유지하고 싶다면 어두운 곳에서 영상을 보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