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 내일 55만 수험생 응시…7년 만에 최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수능에 응시하는 수험생들은 오늘 예비 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해야 한다. 13일 치러지는 수능 시험에는 55만 명의 수험생들이 응시할 것으로 전망돼 7년 만에 최대 인원이 수능을 치루게 된다.
12일 교육부에 따르면 2026학년도 수능은 오는 13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5분까지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동시 시작된다. 이번 수능 지원자는 총 55만4174명으로 2019년 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출산율이 높았던 ‘황금돼지띠’ 2007년생이 고3으로 수능을 치룬다.
총 응시자 중에는 재학생이 37만1897명(67.1%)로 가장 많고 졸업생 15만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가 2만2355명(4%)로 집계됐다. 졸업생 응시자 수는 지난해 16만1784명 보다 감소했지만 최근 12~13만 명대를 기록하던 것과 비교하면 많은 수준이다.
올해 수능에서는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와 수학에서 공통과목을 응시하고 선택 과목 1개를 골라야 한다. 국어 ‘화법과 작문’을 수험생 68.4%가 선택했고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를 57.1%가 택했다.
탐구 영역에서는 탐구 지원자 77.3%가 사회탐구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했다.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은 12만692명(22.7%)으로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과학탐구 응시생이 줄어들면서 등급 확보가 어려워지는 등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을 선택한 학생 간에 유불리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수능 당일에는 수험표와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지참해 오전 8시10분까지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해야 한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주민등록번호가 표시된 여권 △청소년증 △외국인등록증 △주민등록증·청소년증 발급신청확인서 △성명과 생년월일·학교장 직인이 기재된 학생증 등은 신분증으로 인정이 되지만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는다.
시험장에 스마트 워치를 비롯한 스마트 기기를 반입할 수 없으며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이어폰, 전자담배 등도 포함된다. 만일 전자기기를 시험장에 가져 온 경우 1교시 시작 전까지 감독관에게 제출하고 시험을 마친 뒤 돌려받을 수 있다. 전자기기 소지가 적발될 경우 부정행위로 처리돼 당해 시험이 무효가 된다.
수능 답안지에는 배부받은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팬만 사용해야 하며 필적 확인 문구도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을 사용해야 한다. 모든 수험생은 4교시 ‘한국사’ 시험에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수험생이 많아지고 의대 문이 좁아지면서 최상위권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수능은 교육과정에서 벗어난 초고난도 문항인 킬러 문항 배제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최상위권의 성적을 가를 수 있는 적정 난도의 문항을 어떻게 출제했을 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