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급증…10·15 대책 이어져

2025-10-20     정진호 기자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해당 기사 내용과 무관함.

올해 9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9월 서울 아파트 신고 급증이 10·15대책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20일 직방이 올해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이 6월 22%에서 9월 24%에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은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거래 건수가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이다. 이는 거래가 살아나면서 가격대가 상단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확인된 셈이다.

서울 내부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기준 기존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다. 

마포·성공·광진·동작·강동구 등 신규 규제지역 신고가 비중이 빠르게 상승하며 회복 흐름을 보였다. 성동~광진~강동으로 이어지는 한강 동측 축과 마포·동작 등 도심 접근 축에서 신고가 거래가 집중됐다. 

이러한 흐름은 양천·영등포·서대문 등 중간권 지역으로 점차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9월 기준 △영등포구 29% △양천구 28% △서대문구 24% 등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반면 노원·도봉·금천 등 일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경기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회복이 전개되는 모습이다. 분당·과천·하남 등 강남 접근성이 높은 지역이 신고가 증가를 주도했다. 9월 기준 과천 57%, 성남 분당구 43%, 하남 11% 등에서 신고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직방 측은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런 상승 압력이 확산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지난 15일 정부는 서울 25개 자치구와 경기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일괄 지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10·15대책을 발표했다. 경기에서는 10·15 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으로 묶인 12곳의 경우 신고가 비중이 8월 11%에서 14%로 상승했다.

직방은 “단기적으로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2025년 8~9월 서울 주요 지역 신고가 거래 비중 / 자료제공 = 직방